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알림

포커스 취재

100세 건강을 좌우하는 시기는?

‘세 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이 있다. 건강도 마찬가지다. 세 살 때는 아니지만 40·50대의 생활 습관이 노후 건강을 좌우한다. 40·50대 중년에 건강을 적절히 관리하면 노년기 삶의 질도 크게 올라간다. 반면 활발하게 사회활동을 하는 이 시기에 건강을 소홀히 하면 심·뇌혈관 질환이나 당뇨병·고혈압·암 등에 노출될 위험이 매우 커진다. 이와 관련, 진행된 ‘젊은 피 늙은 피’ 연구에서는 중년 이후 쥐가 젊은 쥐의 피를 수혈했을 때 노화 예방 효과가 뛰어났다. 이 연구는 젊은 쥐의 혈액이 노화된 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중년기에 건강 관리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너무 나이가 많은 쥐의 경우 젊은 쥐와 혈관을 연결했을 때 노화 인자가 젊은 쥐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면서 치료 효능이 없었다. 이는 인간에게도 비슷하게 적용될 수 있어, 노화를 지연시키고 건강한 노년을 보내기 위해서는 중년의 건강 관리가 핵심적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헤바드 메디컬 스쿨의 바딤 글라드이셰프 교수가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중년 이후 쥐의 생명 연장에 젊은 쥐의 피가 뛰어난 효능을 보였으며, 생명 연장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나이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Bohan Zhang et al., Nature Aging, 2023). 특히 워싱턴대 의대 연구에서는 eNAMPT라는 효소를 젊은 쥐로부터 얻어 노화된 쥐에게 보충했을 때 건강 상태가 개선되고, 수명이 16% 연장됐다. 이 효소는 세포가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중요한 단계를 조절하며 나이 들면서 효소가 감소하고 건강 문제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WashU Med). 특히 중년기에는 치매에 걸리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이 서서히 생기기 시작한다.이는 건망증과 초기 치매 증상을 혼동해 발생하는 ‘건강 염려증’과 관련이 있다. 인간 뇌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현상을 주로 ‘작업 기억의 과부하’로 볼 수 있다. 작업 기억은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처리하고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 ‘정신적 작업대’라고 할 수 있다. 중년기에는 젊을 때보다 더 많은 일과 책임을 관리해야 하기에 처리해야 할 정보량이 늘어나 뇌의 작업 기억 영역에 부담을 준다. 이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가 과부하돼 오류가 발생하는 것과 비슷하다. 뇌의 작업 기억 용량이 한계를 초과하면 정보 처리 과정에서 오류가 생길 수 있다. 이는 장기 기억을 활성화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저장하는 데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데 뇌 과학에서는 이를 ‘인지 과부하’라고 한다. 스트레스·수면 부족·질환 등 다양한 요인으로 메모리 문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년기 건망증을 관리하려면 작업 기억 부하를 줄이는 전략과 함께 적절한 휴식, 스트레스 관리, 건강한 생활 습관을 실천하는 게 좋다. 그러면 건망증과 초기 치매 증상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건망증은 일시적인 기억 상실로, 특정 정보나 사실을 잠시 잊어버리는 것을 뜻한다. 반면 초기 치매는 인지 기능 저하가 더 심각하고 지속적이다. 건망증과 치매 초기 증상을 구분할 수 있는 차이점이 몇 가지 있다. 건망증은 간단하고 일시적인 정보를 잊어버리지만 나중에 자연스럽게 떠오를 수 있다. 반면 초기 치매는 중요한 정보나 최근 사건을 계속 까먹고 다시 생각나지 않을 때가 많다. 건망증은 일상생활을 하는데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으며, 잊어버린 정보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반면 초기 치매는 기억력 손실로 일상적인 활동을 하기 어렵고, 대화 도중 할말을 잃어버리거나, 맥락에 맞지 않는 말을 사용하는 등 의사소통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행동도 성격 변화, 우울증, 불안, 이상 행동 등 기분 및 행동 변화가 두드러진다. 반면 건망증의 경우는 기분 변화는 일반적으로 경미하거나 곧바로 안정을 되찾게 된다. 한 가지 조심해야 할 점은 건망증 현상이 길어지고 스트레스와 신체 활동 저하까지 더해지면, 즉 뇌신경을 과다 사용하면 뇌 건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브린더 브라운 박사 연구에 따르면, 적절한 신체 활동을 하면 뇌 속 치매 유발 물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 농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연구 결과 등을 종합하면 40대부터 신체 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해야 뇌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운동은 두뇌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유산소운동은 뇌 혈류를 증가시켜 신경세포 생성을 촉진하고 신경 연결을 강화한다. 근력 운동도 뇌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적지 않다. 또한, 적절한 식습관도 신경세포 생성과 뉴로시냅스 가소성(可塑性)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과도한 지방 섭취는 뇌 염증을 유발할 수 있어 오히려 인지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40대부터 과일·채소·전곡류·단백질 풍부한 식단 등으로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는 게 아주 중요하다. 오메가-3 지방산이 많은 생선·호두·아마씨 등도 염증을 줄이고 뇌 세포 생성을 촉진한다. 스트레스를 적절히 관리하는 것도 뇌 건강 유지에 중요하다.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인지 기능을 떨어뜨리고 신경 가소성을 손상하기 때문이다. 건강 유지 비결은 크게 다르지 않다. 가족·친구 등과 적절히 소통해 심리적 안정을 유지하고, 매일 일정하게 휴식 시간을 둬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취미·명상·호흡 운동·심리 치료 등으로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다. 건강한 수면도 뇌 건강에 필수적이고, 정기적인 사회 활동을 하면 고독감을 줄여주고 인지 기능 저하 위험을 줄여줄 수 있다. 독서·퍼즐 풀이·새로운 기술 학습 등으로 두뇌 활동을 활발히 하면 인지 기능 저하를 늦출 수 있다. 초고령화 시대가 눈앞에 펼쳐지고 있다. 40~50대부터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해야 ‘100세 시대’에 걸맞은 건강한 삶을 기대할 수 있다.

더 알고 싶은 이야기

한국일보의 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