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알림

北 ‘백두혈통’의 대 이은 명품 사랑… 아빠는 스위스 시계, 딸은 디올 패딩

2023.03.23 12:00
어느덧 '백두혈통'의 상징이 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딸 주애가 미사일 발사 현장에 수입산 명품 패딩을 입고 나온 정황이 카메라에 잡혔다. 북한 백두혈통의 명품 사랑은 낯설지 않다. 주애뿐만 아니라 김 위원장과 부인 리설주, 주애의 할아버지 김정일 국방위원장까지 북한의 로열패밀리는 값비싼 옷과 음식들을 좋아하기로 정평이 나 있다. 식량난을 겪는 북한 주민들의 생활과 겹치면서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23일 패션업계 등에 따르면 북한 주애가 지난 16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참관 때 입은 웃옷은 프랑스 명품 브랜드 크리스찬 디올의 '키즈 후드 다운 재킷'으로 추정된다. 검은 색상으로 사각형과 마름모꼴이 겹친 패턴이 특징이다. 공식 판매가는 1,900달러(약 250만 원)다. 김정은 일가는 수입산 명품 마니아로 통한다. 김 위원장은 특히 어릴 적 유학생활을 했던 스위스의 시계에 대한 애착이 깊다. 지난해 3월 ICBM 시험발사 현장을 참관했는데 당시 스위스산 명품으로 보이는 손목시계를 착용했다. IWC사의 '포르토피노 오토매틱'으로 추정되는데 판매가는 약 1,500만 원이다. 김 위원장은 2020년 10월 당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에도 같은 손목시계를 찼다. 그는 당시 코로나19와 태풍 등의 피해를 언급하며 울먹였는데 살짝 들린 흰 셔츠 아래로 명품 추정 시계가 보여 빈축을 샀다. 김 위원장의 부인 리설주도 명품 옷과 가방을 걸치고 공식 일정을 소화하곤 했다. 2018년 9월 20일 북한을 방문한 문재인 전 대통령 부부와 삼지연초대소 호수를 산책했는데 당시 왼손에 샤넬 가방을 들고 있었다고 BBC가 보도했다. 그 밖에 공개석상에서 디올 핸드백과 티파니 목걸이를 차거나 구찌 원피스를 즐겨 입었다. 주애의 할아버지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고급 먹거리를 선호했다. 전속 요리사로 일했던 일본인 후지모토 겐지는 김정일이 철갑상어알(캐비어)을 좋아해 이란, 우즈베키스탄 등지로 출장을 다녀와야 했고, 한입거리인 120달러짜리 일본 허브향 떡을 사 오라고 했다고 저서에서 주장했다. 김정은 위원장의 경우 2010년생으로 알려진 장남을 위해 명품 장난감을 해외에서 공수해온 정황이 우리 정보당국에 포착되기도 했다. 북한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에 따라 해외 사치품을 들여올 수 없다. 하지만 인편을 통해 해외에서 암암리에 조달해온 것으로 파악됐다.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소장은 “로열패밀리가 입는 옷과 식품을 조달하는 조직이 호위사령부 내에 있다”면서 “이들이 전문적으로 고급 의료 등을 들여오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말했다. 다만 통일부는 주애가 명품 패딩을 입었다는 보도에 대해 "관련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표의 검찰 기소에 대해 ‘정치탄압’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22일 열린 더불어민주당 당무위원회에서 전해철 의원이 "기소와 동시에 당직이 정지되는지를 먼저 따져야 하는 것 아니냐"며 반발해 퇴장한 사실이 뒤늦게 공개됐다. 김의겸 대변인이 당무위 직후 브리핑에서 "반대 없이 통과됐다"고 밝힌 것과 배치되는 내용이다. 김 대변인은 23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전해철 의원이 전날 당무위에서 몇 가지 말씀을 한 뒤 퇴장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의 뒤늦은 설명은 전 의원의 요청에 따라 이뤄졌다고 소개했다. 김 대변인에 따르면 전 의원은 당무위에서 '당직자의 직무를 기소와 동시에 정지한다'는 당헌 80조 1항과 관련해 "기소가 되면 당직이 정지되는지 여부를 정치 탄압에 대한 판단에 앞서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 의원은 또 "오전 11시에 기소가 됐는데 같은 날 오후 5시에 당무위를 소집하는 게 부자연스럽다", "공소장을 살펴보지 못한 단계이기 때문에 이를 심층 검토한 뒤 논의해야 한다" 등의 취지의 발언으로 당무위 소집 절차에 대한 문제도 제기했다. 전 의원은 이날 국회 본회의에 앞서 열린 의원총회에서도 자유발언을 신청해 이 같은 내용을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 의원은 의총 후 기자들과 만나 "(대변인의 브리핑에서) 기권했으면 기권했다고 얘기를 해야 한다"며 "기권 사유에 대해 얘기했다"고 전했다. 전날 당무위에선 당무위원 80명 가운데 30명이 참석했고, 39명은 서면 위임장을 통해 "이 대표 등에 대한 검찰의 기소가 '정치탄압' 등 부당한 이유가 있다"고 인정한다는 의견을 제출했다. 김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의결정족수를 충족했고 반대 없이 통과됐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전 의원이 기권 의사를 밝히고 퇴장한 것을 알리지 않은 것에 대해선 "(전 의원이) 정치탄압 여부와 관련해 말한 것이 아니고, 소집 절차에 대해 말했기 때문에 반대 없이 통과됐다고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취재진에게 '당무위 전원 찬성'을 전했다가 하루 만에 '기권이 있었다'고 재차 설명한 것을 두고 대변인의 소통에 문제를 제기하는 견해도 나온다. 한 중진 의원은 "김 대변인이 지난번 EU건(주한 EU 대사 발언 왜곡 논란)도 그렇고 팩트를 많이 틀리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다른 재선 의원도 "기자 출신(김 대변인)이 왜 그러느냐"고 지적했다. 당무위 절차를 둘러싼 문제 제기도 비이재명계 의원을 중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조응천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서 "잠깐이라도 직무정지 절차가 있어야 80조 3항(예외조항 논의)으로 넘어갈 수 있는데, 그 처분이 내려진 적이 없다"며 "(이 대표 보호를 위한) 철통 같은 태세고, 전반적으로 과유불급"이라고 지적했다. 이재명 대표는 의총 직후 "생각이야 다양할 수 있다"며 "정당은 다양성이 생명이니, 의견이 다양하게 있고 그대로 표출하고 수렴하고 조정하는 게 민주주의"라고 원론적 입장만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