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한국 우주산업 터닝포인트 2027년… "발사 수요 확보하고 생태계 구축해야"

알림

한국 우주산업 터닝포인트 2027년… "발사 수요 확보하고 생태계 구축해야"

입력
2024.02.23 16:33
수정
2024.02.23 17:58
0 0

최고 수준 해상도 민간위성 내년 발사
2026~27년 국산 발사체 신뢰성 확인
꼭 가야 할 길... 우주항공청 역할 주목
"발사체 대형화, 임무 중심 전환 필요"

21일 대전 유성구 쎄트렉아이에서 직원들이 상용 지구관측 위성 '스페이스아이(SpaceEye)-T'를 제작하고 있다. 쎄트렉아이 제공

21일 대전 유성구 쎄트렉아이에서 직원들이 상용 지구관측 위성 '스페이스아이(SpaceEye)-T'를 제작하고 있다. 쎄트렉아이 제공

미국 기업 인튜이티브 머신스가 달 착륙에 성공하고 본격적인 ‘뉴 스페이스’(민간 주도 우주개발) 시대를 열면서, 누리호를 뒤이을 차세대 발사체와 달 착륙선을 준비하는 국내 우주산업에도 활력이 전해지고 있다. 한국은 지난해 누리호 3차 발사를 통해 자국 발사체에 자국 위성을 실어 우주로 올린 일곱 번째 나라가 됐다. 하지만 자력으로 달에 착륙하는 건 2030년 이후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늦었지만 꼭 가야 할 길인 만큼 경쟁력 확보에 더욱 속도를 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경제성 갖춘 미래 발사체 라인업 목표"

우리 우주기술은 현재 위성 기술을 고도화하고 안정적인 활용이 가능한 발사체를 확보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업계에선 내년 우주로 올라갈 쎄트렉아이의 지구관측 위성 ‘스페이스아이-T’를 주목한다. 지상의 가로·세로 30㎝ 물체까지 식별할 수 있는 해상도로, 이만한 성능의 민간 위성을 보유한 나라는 미국과 유럽연합(EU), 중국, 이스라엘 정도다. 21일 대전 유성구 쎄트렉아이에서 만난 김이을 쎄트렉아이 사장은 “우리 손으로 만든 위성, 발사체로 다양한 서비스를 공급하는 시대가 오길 바란다”고 말했다.

20일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엔진이 제작되고 있는 경남 창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1사업장 내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

20일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엔진이 제작되고 있는 경남 창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1사업장 내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

‘넥스트 누리호’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서 준비가 한창이다. 차세대 발사체 개발사업 주관 기업 선정 입찰에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최근 입찰을 포기해 한화의 단독 입찰 가능성이 높아졌다. 일단 지금은 내년 하반기 4차 발사를 앞둔 누리호를 만들고 있다. 20일 경남 창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1사업장에서 만난 이준원 우주사업부장은 “중요 부품은 이미 제작 중이고, 이번 달부터 엔진 조립을 시작했다”며 “(스페이스X처럼) 산업화를 촉진하고 발사 수요를 확보해 우주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게 우리 역할”이라고 밝혔다.

상용 발사체의 전제조건은 신뢰성과 경제성이다. 지금까지 정부가 주도한 ‘올드 스페이스’ 방식으론 이 조건을 맞추기 쉽지 않았다. 누리호는 계속 쏴보며 성공 확률을 끌어올리고, 차세대 발사체는 민간 주도로 기술을 국산화하고 성능을 높이려는 이유다. 이 부장은 “우리나라 발사체도 2026~27년이면 신뢰성을 확보할 것”이라며 “경제성을 갖춰 글로벌 서비스 역량을 높이고 다양한 용도의 미래 발사체 라인업을 갖추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격차 줄이고 경쟁력 확보할 전략 절실

21일 경기 용인시 한화시스템 용인종합연구소 위성통합시험장 클린룸에서 연구원들이 인공위성용 카메라를 조립하고 성능을 측정하는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한화시스템 제공

21일 경기 용인시 한화시스템 용인종합연구소 위성통합시험장 클린룸에서 연구원들이 인공위성용 카메라를 조립하고 성능을 측정하는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한화시스템 제공

중국이 2014년, 인도가 지난해, 일본이 올해 각각 달에 착륙선을 보내며 각축전이 전개돼온 달 탐사 무대에 민간이 본격 합류하면서 경쟁은 더욱 가속화할 전망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후발주자인 한국이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줄이고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우주기술 개발 전략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가 나오고 있다.

가령 미국 스페이스X의 팰컨9이나 일본이 최근 발사에 성공한 H3처럼 우리 발사체도 실질적인 임무 수행이 가능한 수준까지 성능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것이다. H3의 탑재중량은 약 6.5톤(t)으로, 누리호(약 2t)의 3배가 넘는다. 곽신웅 국민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우리 차세대 발사체는 대형화 기술 개발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22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 있는 인튜이티브 머신스 관제실에서 직원들이 자사 달 착륙선 '오디세우스'의 착륙 소식에 환호하고 있다. 휴스턴=AP/뉴시스

22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 있는 인튜이티브 머신스 관제실에서 직원들이 자사 달 착륙선 '오디세우스'의 착륙 소식에 환호하고 있다. 휴스턴=AP/뉴시스

위성·발사체 기술을 완성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 어떤 임무를 달성할 것인지를 명확히 설정하는 게 중요하다는 조언도 나왔다. 최기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하드웨어 개발 중심에서, 상업화가 가능한 중·장기적 임무 중심의 우주개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오는 5월 문을 열 우주항공청을 중심으로 유인 우주탐사 시대를 대비해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유럽우주국(ESA)은 이미 많은 예산을 유인 탐사에 투자하고 있다.

창원·대전 오지혜 기자
이현주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