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알림

"공존을 위해 타인을 이해하려는 '공부'···생각하는 힘 길러야"

입력
2023.01.17 04:30
8면
0 0

[상실에서 회복으로] <하> 잃어버린 공동체적 가치 어떻게 회복할까

편집자주

한국 사회가 3년의 팬데믹을 거치는 동안 잃어버린 것이 무엇인지 오피니언 리더 100명에게 물었습니다. 이들의 성찰과 제언을 통해 우리 사회가 회복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 길을 찾아봅니다.


일러스트=신동준 기자

일러스트=신동준 기자

“공부하는 어른이 없습니다.”

시골책방을 운영하면서 여러 일간지에 칼럼을 쓰고 있는 임후남 생각을담는집 대표는 우리 사회의 무너진 가치를 회복하기 위한 길로 '공부'라는 키워드를 꺼냈다. 학창시절 입시 위주의 공부가 전부였지만 함께하는 삶을 위해선 어른이 되어서도 지속적으로 길을 찾고 배워야 한다는 것, 그게 진짜 공부라는 얘기다. 성숙한 시민 공동체는 그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한국일보가 각계 전문가와 칼럼니스트 등 100명을 대상으로 지난 3년간의 팬데믹을 거치며 잃어버린 것을 묻는 설문조사에서 대다수가 우려한 것은 연대·신뢰·관용·존중 등 공동체적 가치 상실과 그에 따른 분열, 와해 위기였다. 극단적 대립과 갈등을 딛고 타인과의 공존·공생의 문화를 되찾아야 한다는 데는 이론이 없었다. 하지만 이를 회복하는 길을 묻는 질문에는 어느 누구도 딱 부러진 대답을 쉽게 내놓지 못했다. 정부 예산을 투입한다거나 한두 명이 나선다고 해결될 성질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 삶의 기초적인 가치관과 태도, 생활방식과 관련된 만큼 응답 역시도 더디지만 발본적인 방식의 제언이 다수였다.

타인을 이해하기 위한 공부..."사유가 필요한 시대"

“공부”와 비슷한 맥락에서 꽤 거론된 “사유”라는 응답이 어쩌면 이 문제를 풀어가는 가장 정직한 열쇠일지 모른다. “사유가 필요한 시대입니다. 사유는 문해력과 맞닿아 있고, 문해력은 공감능력과도 연결됩니다. 사유하지 않기에 우리는 크고 작은 이익에 매몰되어 있는 게 아닐까요. 커뮤니티에 글을 쓰고, 유튜브에 댓글을 남길 때 잠시 멈추고 생각을 더 하면 좋겠어요.”(서효인 시인) “생각하는 힘을 길러야 합니다. 팬데믹은 시시각각 뜨는 뉴스와 출처를 알 수 없는 많은 정보들에 의존하게 했어요. 이를 쉽게 받아들이고 화를 내는 경우가 많아진 거죠. 어떤 현상을 보았을 때 깊이 생각한 뒤 말하고 행동하는 능력을 길렀으면 합니다.” (박훌륭 약사)

타인과의 공존은 무엇보다 타인에 대한 이해의 노력 없이는 불가능하다. 특정한 진영과 채널을 통해 주어진 정보는 믿고 싶은 것만 믿는 현상을 강화해 편견과 적대감만 부추기고 있어서다. 타인을 제대로 알기 위해선 즉각적 반응 대신 전후 맥락을 세심히 살피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식물을 관찰하다 보면 어떤 작은 한해살이풀에 일어나는 미세한 현상도 이유 없이 일어나는 법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하지만 그걸 모른 채 살아가는 날들이 더 많습니다. 이해하려는 노력 없이는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개인의 일상도 그러할 겁니다. 다른 누군가가 몹시 슬퍼하거나 어디가 아픈 건 아닌지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어요.”(허태임 식물학자)


팬데믹, 관계와 연결의 의미 성찰케 한 시간

사유와 성찰의 측면에서 보면 팬데믹의 기간은 공동체성이 무너지는 위기였지만, 우리가 어떤 존재인지를 깨닫는 시간이기도 했다. 박병성 공연칼럼니스트는 “팬데믹은 인간과 자연, 인간과 동식물이 얼마나 연결돼 있는지 깨닫게 된 시기 같다”며 “우리가 홀로 떨어질 수 없는 존재라는 것, 즉 연결과 공존의 가치를 새삼 알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박주영 부장판사도 “공감과 연대를 통한 문제 해결 능력이 상실됐는데, 소통의 필요성을 재인식한 계기였다"며 "새로운 소통방식과 프로토콜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수진 어린이책 편집자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서로의 돌봄에 의지해서 살아왔는지를 절감했다”면서 “돌봄 사회로의 전환이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과거 회귀할 수 없어···개인이 단단해져야 공동체 위기 극복"

공동체적 가치의 의미를 다시금 깨닫고 회복하는 것이 단순히 과거 회귀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과거 권위적이고 집단주의적인 체제가 공동체를 내세워 개인의 권리를 무시하고 억압했던 측면을 간과해선 안 되기 때문이다. 이석배 단국대 법학교수는 “우리나라가 연대성 개념과 집단주의를 구별하지 못하고 혼용해왔다”며 “집단주의가 아니라 연대성의 강화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준 시인도 “공동체에 대해 새로 얻은 미감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예전엔 무조건 ‘다같이’를 외쳤다면, 이젠 진정한 ‘같이’가 무엇인지 구성원들이 함께 고민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니까, 공동체적 가치 회복은 개인을 존중하는 바탕에서 공존과 공생을 모색하는 수평적 연대를 지향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공동체는 코로나 이전부터 무너지고 있었어요. ‘우리가 남이가’가 적절치 않은 시대가 된 거죠. 나와 타인의 거리를 존중해야 합니다. 수직적 관계에서 오는 의무와 책임이 아니라 개인의 선택과 자율이 존중되는 관계로요. 개인이 단단해져야 공동체의 위기를 극복해나갈 수 있지 않을까요.”(구선아 작가)


작은 실천으로 문화적 토양 일궈야

공부와 사유를 통해 타인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공존과 공생을 모색하는 회복의 과정이 단시간에 이뤄질 수는 없다. 개인을 존중하는 수평적 연대 문화는 결국 시민 각자가 삶에서 씨앗을 뿌려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생각이 다른 사람의 말을 경청하는 것이 필요하다”(배영자 건국대 교수) “일단 주위에 관심을 좀 갖고 들여다봤으면 좋겠다”(황정아 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등의 제안이 나온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경청과 돌봄 등 작은 실천들이 모여야 공동체성 회복의 문화적 토양이 만들어진다는 얘기다. ‘공부’라는 화두를 꺼냈던 임후남 대표는 “독서모임 등을 통해 함께하는 삶을 공부하는 자발적인 소규모 공동체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면서 “경제적 부가 아닌 정신적 부를 일구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근아 기자
최은서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